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오기입니다. 여러분들은 병원을 방문하게되면 두려운 것이 어떤 것이 있나요? 상당히 많은 분들께서 바로 바늘을 떠올릴 것입니다. 필자 또한 그런 것이, 주사는 누구든지 싫어할만 합니다. 하지만 일반 근육 주사나 링거 주사는 사실 바늘이 짧고 작은 편입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술 및 술기에서 사용되는 길고 굵은 바늘들이 있습니다. 이번 오기의 의학 상식에서는 제법 긴 바늘을 사용해야 하는 요추 천자(lumbar puncture or spinal tap)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추 천자라는 용어를 풀어서 이야기 하면 허리의 뼈인 요추 부위를 천자, 즉 바늘로 뚫는 시술입니다. 도대체 왜 느닷없이 허리를 바늘로 찔러버리는 걸까요? 이는 바로 바늘을 척추뼈와 척추뼈 ..
안녕하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오기입니다. 바로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CT 검사란 어떤 검사인지,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리고 장단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 보았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CT 검사 ① - 응급의학과의 핵심 검사 [Computed tomography] 안녕하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오기입니다. 이전 글에서 방사선을 사용한 x-ray 검사에 대하여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X선 촬영 - 단순방사선촬영은 naman-bora.tistory.com 이번 글은 이것을 이어받아, 각 신체 부위별 CT 촬영을 하였을 때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는지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두부 CT (Brain CT) 머리 C..
안녕하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오기입니다. 이전 글에서 방사선을 사용한 x-ray 검사에 대하여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X선 촬영 - 단순방사선촬영은 언제 시행하는가 [x-ray] 안녕하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오기입니다. 여러분들께서 병원을 방문하였을 때 가장 많이 받는 영상 검사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셨나요? 당연하게도 답은 바로 X선(x-ray) 촬영, 소위 말하는 엑스 naman-bora.tistory.com 엑스레이는 빠르게 찍을 수 있고 방사선 노출도 적으며 비용이 저렴하기까지 하여 병원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영상검사라고 하였습니다. 응급실에서도 해당 사항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엑스레이보다는 촬영 빈도는 적지만 그보다 훨씬 세련되고 정밀한 검사가..
안녕하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오기입니다. 여러분들께서 병원을 방문하였을 때 가장 많이 받는 영상 검사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셨나요? 당연하게도 답은 바로 X선(x-ray) 촬영, 소위 말하는 엑스레이 검사입니다. 엑스레이 검사는 아마 영상 검사 중에서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가장 많이 하는 검사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이 촬영되는 엑스레이 검사를 찍는 이유를 잘 모르는 분들이 은근히 있습니다. 이번 오기의 의학상식에서는 엑스레이 검사에 대하여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스레이 검사는 다양하게 존재하는 의학적 영상검사들 중 비침습적이고 가장 촬영하기도 쉽고, 소요되는 시간도 적은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도 그럴 것이, 엑스레이 검사는 쉽게 말하면 그냥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것과 비슷하다..
안녕하세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오기입니다. 제가 인턴이 되어 의사로서 첫 걸음을 시작하고 병원의 오만가지 잡일을 다 하던 시절에 가장 하기 싫었던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심전도 검사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검사를 받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검사를 하는 것이었죠. 그도 그럴 것이 심전도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몸에 다수의 전극을 부착하는 것은 물론 환자의 장신구를 제거해야 하며, 움직임이 최소화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비교적 협조가 잘 되는 환자들에게는 금방 끝날 수 있는 검사이지만, 모든 환자가 다 협조적이지는 않은게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전도 검사는 이런저런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한 검사임은 분명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에 대하여 다루어보도록 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